CORS(Cross-Origin Resource Sharing) 처리방안

 

1. 처리방안

1안) 서버 측에서 Access-Control-Allow-Origin 헤더를 설정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 출처를 허용하는 것.

2안)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거나,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법.

 

openapi 호출할 때 CORS가 발생하여, 1안으로는 해결할 수 없어서 2안으로 진행함.

 

2. 구현절차

2.1 proxy module 설치

npm install http-proxy-middleware

 

2.2 proxy module 설정

setupProxy.js 파일을 생성하고, 설정한다.

 

 - 호출 하려는 url: https://apihub.kma.go.kr/api/typ02/openApi/VilageFcstMsgService/getLandFcst?pageNo=1&numOfRows=10&dataType=JSON&regId=11B20601&authKey=인증키

 

 - proxy로 호출하는 url: http://localhost:3001/proxy/api/typ02/openApi/VilageFcstMsgService/getLandFcst?pageNo=1&numOfRows=10&dataType=JSON&regId=11B20601&authKey=인증키

const { createProxyMiddleware } = require('http-proxy-middleware');

module.exports = function(app) {
  app.use(
    '/proxy',
    createProxyMiddleware({
      target: 'https://apihub.kma.go.kr',
      changeOrigin: true,
      })
    );
};

 

매핑된 /proxy는 client에서 proxy 구분으로 사용될 뿐, 실제서버에서는 url에 들어가지 않음. (react 버전 19.2.0 기준)

 

2.3. proxy url로 호출

import React, { useState } from 'react';
import './App.css';

function App() {
  // const [temp, setTemp] = useState("");
  const [isReady, setIsReady] = useState(false);
  const [data, setData] = useState(null);
 

  const params = new URLSearchParams({
    pageNo: 1,
    numOfRows: 10,
    dataType: 'JSON',
    regId: '11B20601', // 수원지역
    authKey: '인증키'
  });

  React.useEffect(() => {
    fetch(`proxy/api/typ02/openApi/VilageFcstMsgService/getLandFcst?${params.toString()}`)
      .then(response => response.json())
      .then(data => {
        setData(data.response.body.items.item);
        setIsReady(true);
      })
      .catch(error => console.error('Error fetching data:', error));
  }, []);

  if(isReady) {
    return (
      <div className="App">
        <h1>Weather Data</h1>
        <table border="1">
          <thead>  
            <tr>
              <th>Announce Time</th>
              <th>지역코드</th>
              <th>발효번호(발표시간기준)</th>
              <th>날씨</th>
              <th>강수확률</th>
              <th>풍향1</th>
              <th>풍향2</th>
            </tr>
          </thead>
          <tbody>
            {data && data.map((item, index) => (
              <tr key={index}>
                <td>{item.announceTime}</td>
                <td>{item.regId}</td>
                <td>{item.numEf}</td>
                <td>{item.wf}</td>
                <td>{item.rnSt}</td>
                <td>{item.wd1}</td>
                <td>{item.wd2}</td>
              </tr>
            ))}
          </tbody>
        </table>
      </div>
    );
  } else {
    return (
      <div className="App">
        Loading...
      </div>
    );
  }

}

export default App;

 

 

결과

 

end.

 

'Programming Language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ackage.json 버전 표기법  (0) 2021.04.27

 

jsp 를 이용한 로직, 또는 windows 의 tasklist 나, unix/linux의 ps 를 이용할 수도 있다.

	private static boolean checkRunningJarProcesses(String checkProcess) {
        boolean jarProcessFound = false;
        if(checkProcess == null) {
        	return jarProcessFound;
        }        	
        
        checkProcess = checkProcess.trim();
        
    	// 환경설정. 1) JAVA_HOME 정의하고, 2) path에 %JAVA_HOME%\bin 추가할 것.  
    	String command = "jps";
        String line;
        Process process = null;
        try {
            process = new ProcessBuilder(command).start();
            logger.debug("Checking for running JAR processes...");
            try(BufferedReader reade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process.getInputStream()))) {
                while ((line = reader.readLine()) != null) {
                    // "java -jar"가 포함된 프로세스를 찾음
                	String[] columns = line.split(" "); // 1: pid, 2: process
                    if (columns.length > 1 && checkProcess.equalsIgnoreCase(columns[1])) {
                    	logger.debug("Found JAR process: " + line);
                        jarProcessFound = true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}            
            }        	
            // int returnCode = process.waitFor();
            // logger.debug("returnCode: {}", returnCode);
        } catch (IOException e) {
        	logger.error(e.toString());
	    } finally {
	    	if(process != null) {
	            process.destroy();
	    	}
	    }
		
		return jarProcessFound;
	}

 

end.

 

cmd script - jar application 이 미실행 중일 때만, start 수행하는 스크립트. (@ChatGPT)

 

@echo off
set JAR_NAME=your_application.jar

REM JPS 명령어로 현재 JAR 파일이 실행 중인지 확인
for /f "tokens=2" %%i in ('jps -l ^| findstr /I "%JAR_NAME%"') do (
    set RUNNING=true
)

REM 실행 중이 아니라면 애플리케이션 시작
if not defined RUNNING (
    echo Starting Java application...
    start "JavaApp" java -jar "%JAR_NAME%"
) else (
    echo Java application is already running.
)

 

end.

 

java application start cmd

 

1. jar start 실행

2. 기존 process 가 있다면, 중지 후 수행하도록 함.

 

start는 백그라운드로 처리함.

 

logback-start.bat

@echo off


REM 네트워크 드라이브 매핑 (네트워크 드라이브 경로, 사용자명 및 비밀번호 수정)
net use Z: \\network\path /user:DOMAIN\username password /PERSISTENT:YES

set JAVA_HOME=C:\Programs\jdk\eclipse\jdk-11.0.18.10-hotspot
set PATH=%JAVA_HOME%\bin;%PATH%

REM JAR 파일 이름에서 프로세스 이름 추출 (예: XXX)
set JAR_NAME=logback-config-loader-1.0.0.jar

REM 실행할 JAR 파일 경로 설정
set JAR_PATH=C:\workspace_sts\LogbackConfigLoader\bin\%JAR_NAME%


REM 기존 프로세스가 실행 중인지 확인하고 종료
for /f "tokens=1" %%i in ('jps -l ^| findstr %JAR_NAME%') do (
    echo 기존 %JAR_NAME%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: PID %%i
    taskkill /PID %%i /F
)

REM Java 애플리케이션 실행
echo %JAR_NAME%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합니다.
REM java -jar -Dapp.profile=dev "%JAR_PATH%"

REM 백그라운드에서 Java 애플리케이션 실행
REM start - background 실행
REM "~"   - title
start "%JAR_NAME%" cmd /c "java -jar -Dapp.profile=dev "%JAR_PATH%""

 

추가적으로, windows 시작 시 cmd 실행방법

 

Windows에서 로그인하지 않아도 특정 배치 스크립트나 Java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려면 "작업 스케줄러(Task Scheduler)"를 사용하여 시스템이 시작될 때 해당 스크립트를 실행하도록 설정하는 방법.  (@ChatGPT)

 

작업 스케줄러를 사용한 스크립트 자동 실행 설정 방법

  1. 작업 스케줄러 열기
    • 시작 메뉴에서 **작업 스케줄러(Task Scheduler)**를 검색하여 엽니다.
  2. 작업 생성하기
    • 작업 스케줄러 라이브러리에서 **작업 만들기(Create Task)**를 선택합니다.
  3. 일반 탭 설정
    • 이름(Name): 작업의 이름을 지정합니다. 예를 들어, Run XXX.jar.
    • 설명(Description): 작업에 대한 설명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보안 옵션(Security Options): 사용자 또는 그룹 변경(Change User or Group)**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에 접근 권한이 있는 사용자 계정을 선택합니다. (만약, cmd가 네트워크 경로가 접근이 필요한 경우)
    • 사용자가 로그인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실행(Do not store password. The task will only have access to local computer resources) 옵션을 선택합니다.
  4. 트리거(Triggers) 설정
    • 새로 만들기(New) 버튼을 클릭합니다.
    • **작업 시작(Start the task)**을 **컴퓨터 시작 시(On startup)**로 설정하여 시스템이 켜질 때마다 스크립트가 실행되도록 합니다.
    • 필요한 경우 지연 시간(Delay task) 옵션을 설정하여 컴퓨터 시작 후 몇 초간 대기 후 실행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설정을 마친 후 **확인(OK)**을 클릭합니다.
  5. 동작(Actions) 설정
    • 새로 만들기(New) 버튼을 클릭합니다.
    • **작업(Action)**을 **프로그램 시작(Start a program)**으로 설정합니다.
    • 프로그램/스크립트(Program/Script): 실행할 스크립트 파일(.bat 파일)의 경로를 입력합니다.
    • 설정을 마친 후 **확인(OK)**을 클릭합니다.
  6. 조건(Conditions) 설정 (선택사항)
    • 전원(Power) 탭에서 AC 전원 연결된 경우에만 시작(Start only if the computer is on AC power) 옵션을 해제하여, 전원 연결 여부와 상관없이 실행되도록 설정합니다.
  7. 확인 후 저장
    •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확인(OK) 버튼을 클릭하여 작업을 저장합니다.

테스트 및 확인

작업을 저장한 후, 시스템을 재시작하여 설정한 배치 스크립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합니다. 작업 스케줄러에서 작업 실행(Run) 버튼을 통해 수동으로 테스트할 수도 있습니다.

 

logback-stop.bat

@echo off
set JAVA_HOME=C:\Programs\jdk\eclipse\jdk-11.0.18.10-hotspot
set PATH=%JAVA_HOME%\bin;%PATH%

REM JAR 파일 이름에서 프로세스 이름 추출 (예: XXX)
set JAR_NAME=logback-config-loader.jar

REM 실행할 JAR 파일 경로 설정
set JAR_PATH=C:\workspace_sts\LogbackConfigLoader\bin\%JAR_NAME%


REM 기존 프로세스가 실행 중인지 확인하고 종료
for /f "tokens=1" %%i in ('jps -l ^| findstr %JAR_NAME%') do (
    echo Terminates existing %JAR_NAME% process: PID %%i
    taskkill /PID %%i /F
)

+ Recent posts